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종류

공간정보융합기능사에 대해 한번 읽어보고 가보도록 하지요.

by joojeo 2025. 2. 6.

준비하시는 분들껜 죄송하지만 쌩판 처음 듣는 자격증이네요.

무슨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지 감이 잡히질 않네요.

신설된지 이제 2년된 자격시험이네요.

이 기회에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간정보융합기능사 자격증 안내


1. 개요 및 필요성

공간정보융합기능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공간정보 기술에 대한 기초적 전문 지식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입니다. 공간정보란 지구 상의 특정 지점이나 영역의 위치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의미하며, 이는 건설, 교통, 환경 관리, 국방, 도시계획 등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됩니다.

이 자격증은 공간정보 수집, 처리, 분석, 시각화 등의 업무 수행 능력을 인증하며, 특히 드론, 위성영상, GIS(지리정보 시스템) 등 최신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공간정보 산업에서 필수적인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2. 응시 자격

공간정보융합기능사는 학력, 경력, 연령에 제한 없이 누구나 응시할 수 있는 개방형 자격입니다.
기초 지리 정보 기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 관련 산업에서의 진로를 희망하는 사람이라면 도전하기 적합합니다.


3. 시험 과목 및 방식

  1. 필기시험
    • 과목: 공간정보 일반
    • 문항 수: 60문항
    • 시험 시간: 60분
    • 출제 유형: 객관식 4지선다형
    • 합격 기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2. 실기시험
    • 시험 유형: 작업형
    • 시험 시간: 약 2시간
    • 시험 내용: 공간정보 데이터 수집, 분석, 처리 및 시각화 작업 수행
    • 합격 기준: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4. 2025년도 시험 일정 (예정)

공간정보융합기능사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https://www.q-net.or.kr)을 통해 연간 2~3회 정기적으로 시행됩니다. 아래는 2025년도 예상 시험 일정입니다.

  • 제1회 시험
    • 필기시험 접수: 2025년 3월 1일 ~ 3월 7일
    • 필기시험 시행: 2025년 3월 20일
    • 필기 합격 발표: 2025년 3월 27일
    • 실기시험 접수: 2025년 4월 1일 ~ 4월 7일
    • 실기시험 시행: 2025년 4월 20일
    • 최종 합격 발표: 2025년 4월 30일
  • 제2회 시험
    • 필기시험 접수: 2025년 6월 1일 ~ 6월 7일
    • 필기시험 시행: 2025년 6월 15일
    • 필기 합격 발표: 2025년 6월 22일
    • 실기시험 접수: 2025년 7월 1일 ~ 7월 7일
    • 실기시험 시행: 2025년 7월 20일
    • 최종 합격 발표: 2025년 7월 30일

※ 정확한 일정은 큐넷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5. 출제 범위

  1. 공간정보 데이터 수집 기술
    • GPS 및 GNSS(글로벌 항법위성시스템) 활용
    • 드론 촬영을 통한 지리 데이터 수집
  2. 공간정보 처리 및 분석 기술
    • GIS 소프트웨어 활용 방법
    • 데이터 가공 및 변환
  3. 공간정보 시각화 기술
    • 공간 분석 결과의 시각화
    • 지리 데이터의 지도 제작
  4. 위성 및 항공 영상 처리
    • 원격 탐사 이미지 분석


6. 자격증 취득 후 진로 및 활용 분야

공간정보융합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1. 공공기관 및 정부 부처
    • 국토교통부, 지자체 등에서 국토 및 도시계획 데이터 관리 업무
  2. 공간정보 관련 기업
    • GIS 소프트웨어 개발 및 서비스 제공 업체
    • 드론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회사
  3. 연구소 및 컨설팅 회사
    • 공간정보 연구소
    • 국방, 환경, 교통 분야 컨설팅
  4. 프리랜서 및 창업
    • 공간정보 분석 및 시각화 서비스 제공

7. 시험 준비 방법 및 팁

  1. 필기시험 준비
    • 기본적인 공간정보 이론을 이해하고 암기
    • GIS 소프트웨어 기능 이해
    •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 경향 파악
  2. 실기시험 준비
    • 공간정보 데이터 수집 및 처리 실습
    • 드론 촬영 데이터 분석 연습
    • GIS 소프트웨어 사용법 숙달
  3. 기술 동향 파악
    • 최신 공간정보 기술과 드론 활용 사례에 대한 이해
    • 관련 논문 및 산업 보고서 읽기

8. 자격증 취득의 장점

  1. 전문성 인증: 공간정보 기술 역량에 대한 공신력 있는 인증
  2. 취업 기회 확대: 공공기관, IT 및 공간정보 관련 산업에서 우대
  3. 산업 트렌드 대응: 드론, 빅데이터, 스마트 시티와 같은 최신 기술 활용 가능


맺음말

공간정보융합기능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공간정보 분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좋은 출발점입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면 공간정보 관련 산업에서 다양한 기회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나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자격증인 것 같네요.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