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종류

전자부품장착기능사 자격증에 대해 읽어보고 가세요.

by joojeo 2025. 2. 6.

말그대로 부품장착 할 수 있는 자격증인가요?

언제 생긴 자격증일까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자부품장착기능사 자격증 안내


1. 개요 및 자격증의 필요성

전자부품장착기능사는 전자 회로 기판(PCB)에 다양한 전자 부품(저항, 커패시터, 트랜지스터, IC 등)을 정확하게 장착하고 납땜하여 전자 제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조립하는 전문 기술 능력을 검증하는 국가기술자격입니다.
전자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고성능, 초소형 전자 제품이 요구되면서 전자부품 장착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SMT(Surface Mount Technology)**와 THT(Through-Hole Technology) 기술은 현대 전자 기기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입니다.

전자부품장착기능사는 이러한 제조 공정에서 필수 인력으로서 정밀한 작업 능력과 품질 관리 역량을 갖추고 있음을 증명하는 자격입니다.


2. 응시 자격

전자부품장착기능사 시험은 학력, 경력, 연령 제한 없이 누구나 응시 가능합니다.

전자 제품 제조 공정에 관심이 있거나 전자 회로 조립 분야에서 진로를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


3. 시험 과목 및 방식

  1. 필기시험
    • 과목: 전자부품장착 일반
    • 문항 수: 60문항
    • 시험 시간: 60분
    • 출제 유형: 객관식 4지선다형
    • 합격 기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2. 실기시험
    • 시험 유형: 작업형
    • 시험 시간: 약 2시간~3시간
    • 시험 내용: 전자 회로 기판(PCB) 상에 부품을 장착, 납땜 및 조립하여 주어진 회로의 정상 작동 여부 확인
    • 합격 기준: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4. 2025년도 시험 일정 (예정)

전자부품장착기능사 시험은 연간 3회 정기적으로 시행됩니다. 아래는 2025년도 예상 시험 일정입니다.

  • 제1회 시험
    • 필기시험 접수: 2025년 2월 15일 ~ 2월 21일
    • 필기시험 시행: 2025년 3월 3일
    • 필기 합격 발표: 2025년 3월 10일
    • 실기시험 접수: 2025년 3월 17일 ~ 3월 23일
    • 실기시험 시행: 2025년 4월 8일 ~ 4월 15일
    • 최종 합격 발표: 2025년 4월 25일
  • 제2회 시험
    • 필기시험 접수: 2025년 6월 10일 ~ 6월 16일
    • 필기시험 시행: 2025년 6월 24일
    • 필기 합격 발표: 2025년 7월 1일
    • 실기시험 접수: 2025년 7월 10일 ~ 7월 16일
    • 실기시험 시행: 2025년 7월 30일 ~ 8월 6일
    • 최종 합격 발표: 2025년 8월 20일
  • 제3회 시험
    • 필기시험 접수: 2025년 10월 8일 ~ 10월 14일
    • 필기시험 시행: 2025년 10월 30일
    • 필기 합격 발표: 2025년 11월 7일
    • 실기시험 접수: 2025년 11월 15일 ~ 11월 21일
    • 실기시험 시행: 2025년 12월 5일 ~ 12월 12일
    • 최종 합격 발표: 2025년 12월 26일

※ 정확한 일정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https://www.q-net.or.kr)에서 확인 필요


5. 출제 범위 및 주요 실습 내용

1) 전자부품 이해 및 회로 이론

  • 저항, 커패시터,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 전자 부품의 특성
  • 회로 해석 및 설계 기본 원리

2) SMT(표면 실장 기술)

  • 소형 전자부품의 표면 실장 작업
  • 자동화 공정 이해

3) THT(삽입 실장 기술)

  • 리드 부품을 기판에 삽입 및 납땜 작업

4) 납땜 및 품질 관리

  • 수동 납땜 작업 기술
  • 불량 검사 및 품질 평가

5) 회로 시험 및 고장 분석

  • 조립 완료 후 회로 정상 작동 여부 테스트

6. 자격증 취득 후 진로 및 활용 분야

전자부품장착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1. 전자 제품 제조업체
    • 전자 회로 기판(PCB) 조립 및 테스트
    • SMT 및 THT 공정 운영
  2. 자동차 전장 시스템 제조
    • 차량 전자 부품 장착 및 품질 관리
  3. 가전제품 및 IT 기기 제조사
    • 스마트폰, 컴퓨터, 가전기기 부품 장착
  4. 공공기관 및 연구소
    • 전자 부품 조립 및 시제품 제작
  5. 프리랜서 및 외주 업무
    • 전자 회로 조립 외주 작업


7. 자격증 취득의 장단점

1) 장점

  • 산업 수요 증가: 전자 기기의 고도화로 전자부품 장착 전문가에 대한 수요 증가
  • 다양한 분야 활용: 자동차, 가전, IT 등 폭넓은 산업군에서 활용 가능
  • 취업 기회 확대: 제조업 및 연구소에서 전자 회로 조립 인력으로 우대
  • 기술 역량 강화: 실무 중심의 작업 능력 습득

2) 단점

  • 정밀 작업 스트레스: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됨
  • 기술 변화에 따른 지속 학습 필요: SMT, THT 등 최신 기술 변화에 맞춰 학습 필요
  • 초기 진입 장벽: 전자 기기 조립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 실기시험이 어려울 수 있음

8. 시험 준비 방법 및 팁

  1. 필기시험 준비
    • 전자 회로 이론 및 부품 특성 숙지
    • 기출문제 반복 풀이를 통해 출제 경향 파악
  2. 실기시험 준비
    • 납땜 기술 연습(정확하고 깔끔한 납땜 중요)
    • SMT 및 THT 작업 실습
    • 회로 시험 장비 사용법 익히기
  3. 현장 경험 축적
    • 전자부품 조립 관련 아르바이트나 실습 참여
  4. 기술 트렌드 파악
    • 최신 전자 부품 및 제조 공정 기술 습득

맺음말

전자부품장착기능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전자기기 제조 산업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좋은 시작점입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면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서 취업 기회를 넓히고, 고급 기술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좋은 말 밖에 없네요

장단점이 잘 나와있으면 좋겠는데 말이죠.

암튼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