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종류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자격증에 대한 고찰.

by joojeo 2025. 5. 8.

 

양화장치운전기능사란?

 개념:

양화장치운전기능사란 **선박을 접안하거나 계류할 때 사용되는 장비(양화장치, 즉 하역장치)**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전·조작할 수 있는 기술자임을 국가에서 인정하는 자격입니다.

  • "양화장치"란?
    • 주로 항만이나 선착장에서 화물을 싣고 내릴 때 사용하는 장치들입니다.
    • 예: 크레인, 컨테이너 리프터, 지브크레인, 데릭 등

어떤 일을 하는 자격인가요?

주요 업무:

  • 선박 하역장비(크레인 등)를 조작하여 화물을 선적 및 하역
  • 장비의 점검 및 유지관리
  • 작업장 안전 관리 및 신호 체계 이해
  • 효율적인 운반 경로 계획 및 실행

 자격증 정보 

항목내용
자격 명칭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주관 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HRD Korea)
시행 주기 연 2~3회 (상·하반기 등)
자격 등급 기능사 (기술자격의 가장 기본급)
시험 비용 필기: 약 11,900원 / 실기: 약 25,000원 (변동 가능)
합격 기준 필기 60점 이상 / 실기 60점 이상
자격 조건 학력, 경력, 연령 제한 없음! 누구나 응시 가능
사용 언어 한국어 (시험 문제도 한국어로 출제됨)
 

 시험 구성

1. 필기시험

  • 과목: 양화장치일반, 양화장치운전, 안전관리
  • 문제 수: 총 60문제 (객관식 4지선다)
  • 시험 시간: 60분
  • 합격 기준: 60점 이상

예시 문제:

양화장치의 지브각도 조정 시 주의할 점은?
a. 화물을 단단히 묶지 않는다
b. 작업반경을 최소화한다
c. 무게 중심을 높인다
d. 작업 신호를 무시한다
→ 정답: b


2. 실기시험

  • 형식: 작업형(기계 조작, 점검 등 실제 수행)
  • 내용:
    • 양화장치의 시동, 운전, 정지 절차
    • 하역 작업 시 안전 수칙
    • 장비 이상 유무 확인 및 조치
  • 시간: 약 30~40분

 공부 방법

1. 기출문제 반복 학습

  • 필기 시험은 기출에서 반복 출제율이 높음
  • 기출 PDF는 큐넷, 시중 문제집 활용

2. 학원 or 유튜브 영상

  • 실기 시험은 장비를 직접 만져야 익히기 쉬움
  • 실기 장비 연습 가능한 학원이 전국에 있음

3. 모의시험 앱 활용

  • “기능사 필기” 같은 키워드로 앱 다운로드
  • 기출 문제 풀면서 점수 자동 채점 가능

 자격증 취득 후 진로

분야설명
항만하역회사 항만에서 선박에 물건 싣고 내리는 작업
물류회사 물류센터에서 컨테이너 이동/운반
조선소 선박 제작 중 대형 부품 이동
항만공사 공기업 취업 시 가산점 등 유리
 

 자주 묻는 질문 (FAQ)

Q. 운전면허 있어야 하나요?
A. 아니요. 일반 운전면허는 필요 없습니다.

Q. 여자도 취득 가능한가요?
A. 네, 성별 제한 없고 실제로 여성 기사도 종종 있습니다.

Q. 따면 바로 취업 되나요?
A. 자격증만으로 바로 취업은 어려울 수 있지만, 현장 경험 + 자격증이면 큰 장점이 됩니다.

양화장치운전기능사의 장단점

 장점

항목설명
1. 취득 난이도 낮음 기능사 자격증 중에서도 비교적 필기와 실기가 부담 없는 편입니다. 누구나 도전 가능.
2. 자격 조건 無 학력, 나이, 경력 제한이 없습니다. 고졸, 무경력자도 바로 응시 가능.
3. 항만 및 물류 분야 진입 가능 항만·물류·조선 분야는 전문성이 요구되어, 자격증이 있으면 유리합니다.
4. 장비 관련 직무 확장 가능 크레인, 지게차, 건설기계 등 유사 자격증과 병행 시 진로 확장에 효과적.
5. 공기업 가산점 가능 항만공사 등 일부 공기업에서 기능사 가산점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단점

항목설명
1. 수요가 제한적 일반 사무직이나 서비스업처럼 광범위한 분야에 쓰이진 않습니다. 대부분 항만/물류계 제한.
2. 자격증만으로 취업 어려움 실제 취업 시에는 경력이나 장비 조작 경험이 매우 중요.
3. 고된 현장 근무 야간작업, 교대근무, 악천후 환경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체력 요구도 높음.
4. 지역적 한계 항만/물류 관련 직무는 주로 부산, 인천, 광양, 울산 등 항만지역에 집중돼 있습니다.
 

 취업 전망

 취업이 가능한 곳

업종상세 설명
항만하역회사 선박에서 화물을 내리고 싣는 작업 수행 (부산항만공사, 평택항 등과 연계된 민간 기업)
물류 및 운송기업 대형 물류창고에서 컨테이너 이동 및 적재 (CJ대한통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조선소 대형 부품 이송이나 조립 시 크레인 조작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건설 현장 (간접 활용) 건설장비 자격증과 병행 시 크레인 작업 참여 가능
항만공사 (공기업) 항만운영 관련 업무에 기술직 또는 기능직으로 채용되는 경우 존재
 

주의사항

  •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자격증만으로 바로 취업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 실무 경험, 다른 장비 자격증(천장크레인, 지게차운전기능사, 건설기계 등) 병행 시 채용 가능성 높아짐.

 연봉 및 급여

 평균 연봉(2025년 기준, 추정치 포함)

근무 형태월급연봉 (세전 기준)
신입 (무경력, 민간기업) 약 220만 ~ 280만 원 약 2,600만 ~ 3,300만 원
경력자 (3년 이상) 약 300만 ~ 400만 원 약 3,600만 ~ 4,800만 원
공기업 기능직 약 300만 원 + 수당 약 4,000만 ~ 5,000만 원
야간/교대 포함 근무 350만 ~ 450만 원 약 4,500만 ~ 5,500만 원 이상 가능
 

 참고 사항

  • 연봉은 지역, 근무 환경, 기업 규모에 따라 차이가 큼
  • 항만 근무 시 야간근무 수당, 위험수당, 특근수당이 많아 실제 수령액이 높음
  • 조선소, 대형 물류회사는 기본급이 높고, 중소기업은 낮은 편

 추천 조합 (시너지 좋은 자격증)

자격증이유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컨테이너나 대형 자재 운반 작업에서 필수 자격
지게차운전기능사 창고 물류 및 적재 작업 시 유용
건설기계조종사면허 (굴삭기 등) 건설현장/항만작업 병행 가능
산업안전기사 (또는 기능사) 안전관리직 또는 승진 시 유리함
 

 결론 요약

항목요약
취득 난이도 낮은 편 (기초 학습으로 접근 가능)
활용 범위 항만, 물류, 조선소 등 특화 분야
단점 지역 제한, 단독 취업 어려움
연봉 수준 신입 약 2,600만~3,300만 / 경력자 4,000만 이상 가능
취업 팁 경력, 관련 자격증 병행하면 채용 가능성 높아짐